유가는 어디까지 오를까? 골드만삭스의 전망은 어떨까?
안녕하세요! 오늘의 취미는 "유가는 어디까지 오를까? 골드만삭스의 전망은 어떨까? "입니다.
작년 코로나 19로 인해 가장 충격적인 사건 중 하나가 바로 마이너스 유가였습니다.
당시의 상황을 떠올려 보면 원유 6월 물이 장 중 40% 이상 빠지며 마이너스 유가의 상황이 벌어졌었는데요.
유가는 언젠가 오를거라는 희망에 많은 투자자분들이 유가 선물에 투자하게 되면서 큰 고비를 마셨을 거라 예상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최근 유가의 상승이 심상치가 않습니다.
22일 기준으로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 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2.25달러(3.8%) 폭등하였고 그로 인해 61.49달러에서 장을 마감하게 되었습니다. 이날은 3월 물 WIT 만 기 날으로 4월 물 WTI는 배럴당 61.70달러에 마감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배럴당 61.70달러는 지난 2020년 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코로나 19 이전을 회복한 수치입니다.
최근 유가 상승이 급등한 이유는 코로나 19 백신의 효과로 경기회복 기대감이 깔려있을 뿐 아니라 최근 기록적인 최악의 한파로 인해 산유 활동에 큰 타격에 의한 것이었는데요. 미국 텍사스 지역의 원유 생산은 예상치 못한 기후 악재로 인해 송유관과 원유 생산 시설의 정비의 손상이 있었고 전력문제 등으로 인해 산유량에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한파와 같은 기후악재가 벌어지게 된 후 단기적인 문제보다는 대부분 장기적인 문제가 생기기 마련인데요. 한파가 물러난 이후 산유량의 회복은 쉽지 않고 장기간 산유량에 문제가 생길 것이라 예상되네요.
이러한 상황에서 글로벌 투자은행 중 하나인 골드만삭스가 유가에 대해 전망하였는데요.
골드만삭스는 22일 기준으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의 목표가를 기존 65달러에서 72달러로 높였어요.
이는 현재 61.7달러에서 약 10달러의 추가 상승을 예상하는 수치라 저도 깜짝 놀랐는데요.
골드만삭스는 오는 3분기에는 72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며 브렌트유 또한 75달러까지 오를 것이라 예상했습니다.
그럼 골드만삭스가 유가의 전망치를 높인 이유는 어떻게 될까요?
골드만삭스는 아래 3가지 원인에 의해 유가는 상승할 것으로 예견했어요!
첫째, 낮은 원유재고입니다.
둘째, 생산량 회복 지연입니다.
셋째, 투기적 수요입니다.
골드만삭스는 "유가가 추가로 랠리를 펼칠 것", "경기회복과 경기부양에 힘입어 원유를 찾는 투자자들이 늘어날 것", "원유가 인플레이션에 따른 충격을 헷징 하는 수단으로 각광"이라고 원유 상승에 기대를 하였습니다.
충분히 의미 있는 이야기로 저 또한 원유는 당분간 상승할 여력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미국 1위 정유업체는 엑손모빌에 투자하고 있는데요. 엑손모빌의 경우 주가가 끊임없이 하락하다가 최근 급등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요. 원유의 상승에 의견이 같으신 분들이 계시다면 엑손모빌과 같은 정유업체에 투자해보는 건 어떨까 생각이 되네요.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벅셔해서웨이의 경우 작년 4분기 애플 주식을 5720만 주를 팔고 정유업체인 셰브런을 4800만 주 새로 사들였는데요. 이처럼 많은 투자 대가들 또한 원유 상승에 기대를 갖고 정유회사에 투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원유는 오는 3분기 이후에는 어떻게 될까요?
골드만삭스는 오는 3분기를 기점으로 4분기부터는 원유 가격의 하락을 전망했는데요.
4분기부터 공급이 정상화될 것으로 예상하는 게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골드만삭스는 4분기부터 WTI가 배럴당 67달러, 브렌트유는 70달러 수준에서 거래될 것으로 전망하였고, 올해 평균 WTI는 68.8달러로 전망했습니다. 단순히 예상치이지만 3,4분기 모두 현재보다 유가는 높을 것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은 올해 유가가 어디까지 오를지 골드만삭스의 의견을 공유해 드렸는데요.
개인적으로 유가가 이렇게 상승하는 것을 보고 느낀 점이 하나 있어요.
당시 유가가 폭락할 때만 해도 이제 친환경시대가 도래했으니 원유는 한물갔다는 의견이 팽배해있고
대부분 친환경에너지기업과 기술주에만 집중을 하던 상황이 있었어요.
하지만 시대는 돌고 돈다고 다시 유가상승이 발생하고 정유회사가 주목받고 있는데요.
이처럼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시대의 흐름에 맞게 투자를 하는 것도 좋지만 자신의 소신을 지키는 것도 좋을 거라 생각이 되네요.
즉, 자신이 확신이 있는 산업에 매출과 이익이 꾸준히 나는 우량회사에 투자를 하면 잃지 않는 좋은 투자가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