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뉴스

미국은 금리를 언제 상승할까?

취미는재테크 2021. 2. 23. 06:00

안녕하세요! 오늘의 취미는 " 미국은 금리를 언제 상승할까?  "입니다.

코로나 19로 인해 가장 많이 하락한 것은 무엇일까요?
항공주? 여행관련주? 금? 등등 많은 것들을 떠올리실 수 있을 텐데요.

저는 개인적으로 하나를 꼽으라면 기준금리라고 생각이 되네요.

미국은 몇 번의 경제위기를 통해 경제위기가 발생하면 금리를 하락시키고 시중에 자금을 유통시키는 방법을 깨달았는데요. 이번 코로나 19 사태가 발생하자마자 가장 먼저 급격하게 내려간 것이 바로 금리였고, 지금도 낮은 금리 상태로 꾸준히 유지되고 있는 게 그러한 이유라 생각되네요.

 

뉴욕증시의 전망은 어떨까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당분간 크게 상승하지도 않고 하락하지도 않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그 이유는 이번 주 내에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국채금리 상승에 대한 의견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출처 : 로이터

금리는 시중의 자금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파월 의장의 발언에 따라 금리가 출렁일 것이고, 이는 미국 증시뿐만 아니라 전 세계 증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바이든 정부의 정책의 방향이 대규모 부양책이고 코로나 19 백신의 접종률도 꾸준히 올라가고 있는 점을 보아서 어느 정도 주가의 지지선은 있을 것이라 생각되네요.

 

금리 상승만큼 최근 관심이 집중되는 것이 바로 인플레이션인데요.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이 최근 금융시장의 중요한 화두입니다. 최근 백신으로 인해 코로나 19 확산세가 많이 진정되었지만 그로 인한 경제 정상화와 막대한 유동성에 의한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최근 1.35%까지 올라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였습니다.

만약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금리의 상승은 증시의 상승, 하락 모두 영향을 끼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금리가 상승한다는 것은 경제 성장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지만 주가의 가치에 부담을 지게 하여 부정적인 측면도 동시에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현재 미국의 주가는 경제성장이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모두 반영되었다고 생각하는데요. 즉, 금리가 상승하면 긍정적인 측면은 이미 다 반영된 상황에서 부정적인 효과만 증폭될 것이고 그로 인해 어느 정도 주가는 조정 또는 하락국면으로 접어들 것이라 예상되네요.

출처 : https://www.investing.com/

따라서 이번 주 상하원 반기 통화정책 증언에서 파월 의장의 금리에 관한 발언이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파월 의장은 그동안 통화완화를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여러 차례 밝혔는데요.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라는 의견도 있어왔기에 이번 증언에서도 금리 상승에 대한 의견은 없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또한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바이든 정부에서의 미국 부양책에 대한 기대는 유지될 것으로 생각하는데요. 이번 주 미 하원은 약 2조 달러 정도의 부양 법안을 가결할 계획을 갖고 있으며, 하원은 미주당이 확실한 우위를 선점하고 있어 법안 통과에 크게 문제 될 것은 없어 보입니다. 혹시나 민주당의 이탈표가 생기는 것이 문제이지만 제 생각에는 문제없이 통과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출처 : 월밍턴

또한 최근 긍정적인 소식이 있었는데요.

바로 존슨 앤 존슨(JNJ) 또한 백신 긴급 사용 승인이 예상되는 점입니다. 존슨 앤 존슨의 경우 타 백신업체들과는 달리 단 한 번의 백신으로 효과가 있다고 그동안 입증해 왔으며 실온에서 보관을 할 수 있어 다른 기업에 비해 긍정적인 점이 많았는데요. 이로 인해 현재까지 백신을 지급받지 못한 나라에서도 백신을 지급받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네요.

출처 : 존슨앤존슨

오늘은 미국의 현재 금리 상황과 앞으로 금리의 상승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그동안 파월 의장의 통화완화 기조 유지, 바이든 정부의 미국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은 계속 있어왔기에 당분간 미국 금리의 인상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금리를 낮출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증시에 투자하시는 모든 분들은 꾸준히 금리의 변동에 관심을 가져야 자신의 자산을 지키는데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