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취미는 "미국 반도체·배터리 동맹으로 한국의 전망은 어떻게 될까?"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뉴스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하는 "취미는재테크"입니다.
2021.02.24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요 산업 품목의 공급망 상태를 점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을 했어요!
바이든 대통령은 최근 수급 구조에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는 반도체 칩과 전기차용 대용량 배터리, 희토류, 의약품 등 4대 핵심 품목의 공급에 대해 100일간 검토를 지시하라는 서명을 내렸는데요. 반도체 칩과 전기차용 배터리의 경우 대한민국의 핵심 수출품으로 이번 행정명령 서명이 대한민국에도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 예상됩니다.
이번 행정명령은 미국이 반도체와 배터리 분야에서 동맹 구축을 하겠다는 의미인데요. 이를 통해 미국의 중국 견제가 본격화될 것으로 생각되며 한국 기업들은 시험대에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반도체와 배터리 분야의 대표 기업인 삼성전자와 LG에너지 솔루션과 같은 기업들은 미중간 균형을 맞추며 그와 동시에 사업적 실리도 추구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죠. 저의 경우 이번 행정명령은 마치 지난해 대형 고객사인 화웨이로 가는 반도체 수출이 완전히 막혔던 기억을 떠오르게 하는 것 같네요. 또한 바이든 행정부의 동맹 구축 제안에 적극적으로 응하는 경우 과거 사드 보복과 같은 중국의 반격이 우려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반도체 업계의 경우 이번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대한 신중한 입장을 가지고 있어요. 한국 반도체 국가별 수출 비중의 경우 지난해 중국 약 40%, 아세안 약 20%, 미국 약 7.5%, 유럽연합 약 2%, 기타 약 32%의 비중을 갖고 있습니다. 즉, 중국의 수출은 아세안, 미국, 유럽연합을 다 합친 것보다 많은 수준에 달하는데요. 따라서 바이든 정부의 동맹 제안에 적극적으로 응하기가 망설여지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제 생각으로는 이번 행정명령을 반도체 업계에서는 기회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중장기적으로는 미국과 중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 부담스러울 수 있어요. 하지만 미국 행정부의 목적은 결국 중국의 기술의 성장을 막는 것이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한국의 초격차 기술을 추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당장은 미중 사이에 균형을 맞추지만 중국의 공급망 차단에 대비하여 다른 국가들의 수출비중도 늘려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배터리 업계는 이번 행정명령을 어떻게 바라볼까요?
배터리 업계의 경우 이번 바이든 대통령의 동맹국 위주 공급망 구축 소식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요. 미국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회로 받아들이는 모습이에요. 현재 배터리 산업은 패권 다툼이 치열한 상황이었는데요. 이 같은 상황에서 바이든 행정부의 배터리 공급망 관심은 호재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배터리 또한 중국이 글로벌 배터리 최대 시장이며 이를 따라잡기란 단기간에 쉽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입니다.
반도체 업계가 이번 행정명령을 기회로 받아들이는 것과 동일하게 배터리 업계 또한 이번 행정명령을 기회로 받아들여 한국 배터리 기업들이 세계 지배력을 늘려나가는데 커다란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에요.
오늘은 미국의 반도체, 배터리 동맹으로 인한 한국의 전망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이번 행정명령 서명을 통해 반도체와 배터리산업 모두 한 단계 성장하는 기회를 가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재테크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유가 폭등! 금융시장은 어떻게 될까? (0) | 2021.03.07 |
---|---|
삼성전자는 왜 미국에 재산세 감면을 요청했을까? (0) | 2021.03.02 |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또 올 수 있을까? (0) | 2021.02.28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여섯번째 동결한 이유는 무엇일까? (0) | 2021.02.28 |
'영끌·빚투'로 인한 대한민국 가계 빚은 얼마나 될까? (0) | 2021.02.27 |